화물 자동차 운송의 개념과 화물차의 종류 : 물류관리

화물 자동차 운송의 개념과 화물차의 종류

화물 자동차 운송의 개념과 화물차의 종류


1. 화물자동차의 개념과 특징



(1) 화물자동차 운송이란? 


흔하게 도로에서 볼 수 있는 화물자동차는 운송의 방법 중에서, 육상의 공로를 이용하여 신속 배송 및 고객 요구에 대응하는 문전운송 (Door To Door) 을 실현할 수 있는 운송이 바로 화물자동차를 이용한 운송인데요. 

화물자동차 운송은 운송단위가 소량이며, 운송거리가 단-중거리인 화물에 적합한 운송수단입니다. 또한 화물자동차 운송은 복합운송시 문전운송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연계운송수단인데요. 이러한 특징 때문에 육상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운송방법이며, 화물의 특징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화물자동차들이 있습니다. 


(2) 화물자동차 운송의 특징 


㉠ 화물차의 차종이 다양하며, 고객의 요구에 대응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화물 종류에 대응하여 특수설비를 갖춘 차량을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고객이 원하시는 시기에 탄력적인 배차에서 부터, Door To Door 서비스와 일관수송이 가능하며, 화물의 수취가 편리합니다. 

㉡ 복합운송에서 다른 운송수단의 운송을 완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화물차 운송은 문전 운송이 가능하며 운송의 완결성이 매우 뛰어납니다. 

㉢ 고정자본의 투입규모가 다른 운송수단에 비해 적어 투자가 용이하며, 도로망이 발달함에 따라 운송의 신속성, 안전성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고정비 보다 변동비(통행료, 차량수리비, 기름값등)가 높습니다. 

㉣ 다품종 소량생산에 따른 다빈도 운송이 가능하며, 소량화물의 경우에는 철도보다 신속하게 운송이 가능하고, 최근에 늘어나는 택배 및 특송시장에서도 소량화물을 다빈도로 신속, 정확하게 운송할 수 있습니다. 

㉤ 화물차 운송은 기본적으로 중단거리 화물 운송에 적합하며, 화물의 적재중량에 제한을 받습니다. 또한 대형화물차의 경우에는 장거리 운송이 경제적입니다. 


(3) 화물자동차 운송의 유형 


1) 화물차 운송 형태에 따른 분류


㉠ 간선운송 
: 대량의 화물을 취급하는 물류거점(터미널)간의 운송으로 대형 화물차를 활용한 장거리 운송을 주로 활용합니다. 운송노선이 단순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지선운송 
: 물류거점과 소도시 또는 물류센터, 공장등 화물을 집화하고 배송하는 운송을 이야기합니다. 

㉢ 집화운송 
: 화주의 공장 또는 물류센터에서 화물을 수집하여 주요 철도역, 항만, 공항, 화물터미널등 물류거점까지의 운송으로 주로 중소형 트럭을 활용합니다. 

㉣ 노선운송 
: 정기화물과 같이 정해진 노선과 운송계획에 따라 운송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화물차의 소유형태에 따른 분류


㉠ 자가용 차량 운송 

㉡ 영업용 차량 운송 



2. 화물자동차의 종류 


(1) 일반화물차 (General Cargo Truck) 


새롭게 나온 포터 일렉트릭 (전기차!!)
새롭게 나온 포터 일렉트릭 (전기차!!) 


주변에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화물차(포터같은..)로, 적재함의 윗부분이 개방되어 있고, 옆면과 뒷면은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화물차입니다. 

화물 적재 시, 후면-좌우측면-윗방향에서 상하차가 신속하게 가능하며, 오픈형태로 밴형에 비해서 적재량이 많습니다. 하지만 적재대 측면이 낮아 정형화 된 화물 (박스등) 이 아닌 경우 높이 쌓이 부적절하며, 안전운송을 위한 화물의 결박, 우천 시등에 대비해 덮게를 씌우는 운행을 해야할 수 있습니다. 


(2) 밴형 화물자동차 (Ven Truck) 


탑차 - 냉동등 특수형태로도 많이 활용됨
탑차 - 냉동등 특수형태로도 많이 활용됨


일반적으로 탑차라 불리우는 차량으로, 화물적재대가 지붕구조의 덮개가 있는 화물자동차입니다. 탑의 무게로 인하여 동급의 화물차에 비하여 적재중량이 감소되어 주로 부피화물을 운송합니다. 또한 냉동, 냉장등 전용특장차로도 제작도 가능합니다. 

일반 화물차에 비해서 제작가격이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장차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탑차는 화물 결박 및 덮개가 필요 없으며, 화물 낙화와 같은 사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재함보다 크기가 큰 화물의 운송이 어려우며, 상하역이 주로 뒷면에서 이루어져 신속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옆으로도 완전오픈 탑차(윙바디)도 있긴 합니다..^^;;)  


(3) 트레일러 


트레일러는 동력없이 견인차에 연결하여 짐이나 사람을 실어 나르는 차량으로, 트럭 또는 트랙터의 뒷부분에 견인되는 차를 이야기합니다.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분리가 가능하고, 트랙터 1대로 복수의 트레일러를 운영할 수 있으므로 트랙터와 운전사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탄력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또한 트레일러 부분에 화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화물차의 차량 총 중량의 제한이 40톤으로 늘어나 적재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트랙터와 트레일러
트랙터와 트레일러


1) 세미 트레일러 


: 트럭 트랙터에 맞걸어 연결할 수 있도록 앞 부분에 킹핀이 있는 트레일러로, 앞축은 커플러(연결장치)로 지지하고, 뒷축에만 타이어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가동중인 트레일러 중에서 가장 일반적이며, 트레일러 탈착이 쉽고, 공간을 적게 차지합니다. 




2) 풀 (Full) 트레일러 


: 대량화물 운송 시 사용되는 트레일러로, 트랙터와 트레일러가 분리되며, 1축 또는 2축으로 트레일러 하중을 트랙터 측에 걸리지 않게 한 것으로 특수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됩니다.


3) 폴 (Pole) 트레일러


: 목재 또는 관재등 길이가 긴 재료를 운반하는데 쓰이는 트랙터 및 2륜 트레일러로 적하물 자체가 트랙터와 트레일러의 연결부분을 구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축 거리는 적하물의 길이로 조절이 가능합니다. 






4) 스케레탈(Skeletal) 트레일러 


: 컨테이너 운송을 위해 제작된 트레일러로 흔히 섀시라 불립니다. 전 후단에 컨테이너 고정장치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5) 저상식(Low bed) 트레일러 


: 로우베드 트레일러라고 불리며, 적재할 때 전고가 낮은 하대를 가지고 있어서, 일반적으로 중장비 및 기계설비등을 안전하게 운송하는데 사용됩니다. 



(4) 전용특장차 (Specialized Truck)


차량의 적재함을 특수화물에 적합하게 제작한 차량으로 덤프트럭, 믹서트럭, 액체 수송차 또는 냉동차등이 있습니다. 

화물의 포장비 절감이 가능하고, 신속한 상하역으로 상하역비 절감, 악천후에도 상하차가 가능하며, 화물운송의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다만 전용특장차의 경우에는 차량의 가격이 높고, 소량화물의 운송에는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1) 덤프트럭 

덤프트럭은 적재함을 경사지게 하여 적재물이 쏟아져 내릴 수 있도록 한 트럭으로, 주로 건설현장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덤프트럭
덤프트럭


2) 믹서 트럭 (레미콘 차량) 


레미콘 차량으로 불리우는 이 트럭은 적재함 위에 회전하는 드럼을 싣고 이 속에서 생 콘크리트를 뒤섞으면서 토목건설 현장등으로 운행하는 래미콘 차량입니다. 회전하는 드럼속에서 레미콘이 응고되지 않아 전문적인 운송이 가능합니다 


믹서 트럭 (레미콘 차량)



3) 액체 운송차 (탱크로리) 


각종 액체를 수송하기 위해 탱크 형식의 적재함을 장착한 차량으로 화물별로 안전운송을 위한 특수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탱크로리, 휘발류로리, 우유로리등으로 불립니다. 

 
액체 운송차 (탱크로리)


4) 냉동차 


냉동식품 및 야채등 온도관리가 필요한 화물 수송 특장차로 차량에 냉동장치를 장착하여 온도관리가 가능한 차량합니다. 단열만 가능한 경우에는 보냉고라고 구별합니다. 



5) 벌크 트럭 (분입체 운송차량)


시멘트, 사료, 곡물, 밀가루등 분입체를 운반하는 차량으로 실물 상태로 바로 운반하여 기계화 하역이 가능한 차량입니다. 

6) 무진동 트럭 


도로면의 요철에 의한 진동을 흡수시키고자 충격흡수 장치를 장착한 차량으로, 미술품과 반도체 장비등 고가의 제품 운송에 이용됩니다 



(5) 합리화 차량 


헙리화 차량은 운송하는 화물의 범용성을 유지하면서 적재함에 별도의 상하역 조력장치(설비기기)를 장비하여 적재하차의 합리화하는 화물차를 말합니다.  상하역합리화 차량, 적재함구조합리화 차량, 적재함개폐합리화 차량, 시스템 차량등이 있습니다. 

1) 상하역 합리화 차량 


: 화물의 상하차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자체 구조를 개선하거나 조력장치를 착한 차량으로, 적재함을 경사지게 하는 덤트프럭, 화물의 뒷면에 리프트를 부착한 리프트게이트 장착 차량, 크레인 차량, 적재함의 앞 부분을 들어올려 뒷부분이 지면에 닿아 차량등을 직접 적해함에 올라가는 세이프로더등이 있습니다. 


2) 적재함 구조 합리화 차량 


: 적재함의 구조를 개선하여 화물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적재하며, 올려진 화물을 적재대에서 효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한 차량. 리프트플로어, 로울러컨베이어, 파렛트레일, 파렛트슬라이더, 행거 적재함등 적재함 하역의 합리화를 도모하는 차량입니다. 


3) 적재함 개폐 합리화 차량 


: 밴형 차량의 단점인 하역 장비의 사용 및 물류센터의 설비구조의 제약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재함의 개폐방법을 개선한 차량으로, 윙바디, 셔터도어, 슬라이딩도어, 컨버터블 차량이 있습니다. 


4) 시스템 차량 


적재화물이 이적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차량을 이용하여 계속적인 연결 운송이 가능하게 하거나, 차량과 적재함을 분리하여 상하차시간 및 대기시간등을 단축할 수 있도록 제작된 차량으로 스왑보디와 암롤트럭이 있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페이지